본문 바로가기
매일투자복기

25년 1월 결산

by 트레이딩 사색가 2025. 2. 3.
반응형

1월 31일 캡쳐본을 찍어놓지 못하였는데 계좌 평잔은 +432,000원이었다. 

중기 계좌와 단기계좌의 실현 손익을 다 계산 해보니 -502,077원이다.

총 평가금액 대비 총 손익은 약 -70,000원이다. 이번달 시장이 그리 나쁘지 않았음에도 꽤 큰 마이너스이다. 

 

패착의 요인와 해결책

- 50일선 돌파, 20일 신고가 기업에서 매수 신호의 원칙이 너무 넓다.

- 너무 많은 기업들을 사게 되었고, 너무 많은 기업들을 손절하게 되었다.

- 섹터가 겹치는 경우 올라갔을 때는 평잔이 크게 오르지만 떨어졌을 때는 섹터 전체가 털리며 자동 손절 되었다. 

- 매수 신호의 범위를 확줄이고, 대장주 위주의 매매

- 처음 매수금액을 줄이고 올라갈 때마다 매수하는 방향성 

- 데이트레이딩 연습을 통해 중기에서 나가는 손절을 메꿀 수 있는 방향성 고려

 

그 중에서도 손해가 컸던 날 다시 복기 

8일, 9일, 14일, 20일, 23일, 31일

 

8일은 장중의 뇌동매매 습관을 아직 못한 이유로 손해가 컸다. 

9일은 아직 제대로 습관이 잡히지 않은 종가매매로 손해가 컸다. 

14일, 역시 아직 뇌동 매매 습관을 버리지 못한 이유로 손해가 컸다. 

20일,  단기 계좌와 중기계좌를 나눴지만 이때부터 중기 매매에 있어서 신호가 너무 많았고, 손절도 많았다. 

23일, 31일 마찬가지이다. 중기 매매에서 매수신호의 범위를 확 줄여야 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마지막 2거래일동안 시장이 크게 떨어지긴 했지만 1월 시장은 나쁘지 않은 시장이었다. 그럼에도 뇌동 매매를 하지 않으니 바로 신호를 너무 많이 컨텍하여 과도한 매매를 하고 있었다. 

 

2월은 신호가 가장 강한 소수의 기업들을 매수하고, 최초 매수 금액도 줄여야 할 것이다. 

데이트레이딩을 하면서 다시 뇌동 매매의 습관이 올라오려고 하는데 금액을 반드시 줄여서 나의 원칙을 만드는 것이 먼저임을 절대 잊지 않아야 할 것이다. 

지금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매일 돈이 쏟아지는 ATM 기계를 정교하게 만들어가야 한다. 그전까지는 버는 돈은 큰 의미가 없다. 즉, 많이 잃어서는 안된다. 많이 잃으면 내가 나의 투자를 시험해보고 도전해야할 돈이 사라진다. 그뿐인가 부모님, 그리고 아내가 믿고 맡긴 돈이 다 날아가는 것이다. 그렇게 되지 않게 정신 번쩍 차리고 살아야 한다. 

 

12번의 기회중 1번이 가고, 2번째 기회가 왔다. 이 2번째 기회에서 나는 어떤 매매 스타일과 원칙을 만들어 나갈지 고민하고 도전하고 정리하고, 복기하고, 다시 정교해지자. 

,

 

반응형